지구를 위한 한걸음

제로웨이스트: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10가지 방법

castelaa 2025. 2. 26. 22:25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 중 상당 부분이 버려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3억 톤의 음식이 폐기되며, 이는 생산된 식량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입니다. 한국에서도 하루 평균 1만 5천 톤 이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며, 이는 환경 오염뿐만 아니라 경제적 낭비로도 이어집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단순한 쓰레기가 아닙니다. 음식물을 폐기하는 과정에서 메탄가스(CH₄)와 같은 온실가스가 발생하며, 이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또한, 음식물 처리에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이를 줄이는 것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가정 경제에도 도움이 됩니다.

음식물쓰레기 레몬껍질

 

이번 글에서는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주방을 만들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10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작은 습관만 바꿔도 환경을 보호하고, 더욱 지속가능한 생활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10가지 실천법

1️⃣ 식재료 구매 전 체크리스트 작성하기

필요한 식재료만 구입하는 것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첫 번째 방법입니다. 무계획적인 장보기는 과소비를 유발하며, 결국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식재료가 많아집니다.

실천 방법

  • 냉장고 & 팬트리(식료품 저장 공간)를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것만 메모
  • 일주일 치 식단을 미리 계획하여 불필요한 구매 방지
  • 1+1 할인 행사에 현혹되지 않고, 정말 필요한 만큼만 구매

2️⃣ 로컬푸드 & 제철 식재료 활용하기

수입 식품은 장거리 운송 과정에서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을 증가시키며, 보관 과정에서 신선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실천 방법

  • 지역 농산물 직거래 장터 이용 → 신선한 재료 구매 가능
  •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로 음식물 낭비 줄이기
  • 냉동 식재료보다는 신선한 식재료를 적절한 양만 구매

3️⃣ 식재료 보관 방법 최적화하기

음식이 상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잘못된 보관 방법 때문입니다. 적절한 보관을 통해 신선도를 유지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 냉장고 속 식재료의 유통기한을 정리하는 ‘FIFO(First In, First Out) 원칙’ 적용
  • 과일과 채소를 적절한 장소(실온 또는 냉장)에서 보관
  • 식재료를 밀폐 용기에 보관하여 신선도 유지

4️⃣ 음식물 쓰레기 활용한 요리 만들기

버려지는 식재료를 활용해 새로운 요리를 만드는 것도 훌륭한 제로웨이스트 실천 방법입니다.

활용 방법

  • 채소 껍질 → 수제 채소 육수 만들기
  • 말린 빵 → 크루통(Crouton) or 빵가루로 재활용
  • 바나나 껍질 → 바나나 껍질 차로 활용

5️⃣ 냉장고 & 냉동실 정리 습관 들이기

냉장고 안에서 잊혀진 식재료는 결국 음식물 쓰레기가 됩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주기적인 냉장고 정리 습관이 필요합니다.

실천 방법

  • 한 달에 한 번 냉장고 & 냉동실 정리하여 오래된 식재료 먼저 소비
  • 냉동 가능한 음식은 소분하여 보관
  • 유통기한이 가까운 식재료를 앞쪽에 배치하는 정리법 활용

6️⃣ 작은 양으로 요리하고 남은 음식 활용하기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요리하면 남은 음식을 처리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천 방법

  • 1인분 기준으로 요리하고, 부족하면 추가 조리
  • 남은 음식은 냉동 보관 후 재사용 (예: 남은 밥 → 볶음밥 or 주먹밥)
  • 작은 접시를 활용하여 음식 섭취량 조절

7️⃣ 재사용 가능한 용기 & 다회용품 사용하기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와 랩을 줄이면 쓰레기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 밀폐용기(스테인리스, 유리) 활용
  • 실리콘 랩, 밀랍 랩 사용하여 음식 보관
  • 일회용 빨대 & 컵 대신 다회용 제품 사용

8️⃣ 푸드 쉐어링 & 기부하기

먹지 않는 음식이 있다면 주변 이웃이나 기부 단체와 공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천 방법

  • 푸드 쉐어링 앱(예: 당근마켓 나눔 기능, 푸드뱅크) 이용
  • 유통기한이 남아 있는 식품을 지역 푸드마켓에 기부

9️⃣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하기

음식물 쓰레기는 단순히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퇴비로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 커피 찌꺼기 → 식물 거름으로 활용
  • 달걀 껍질 → 칼슘 보충제로 활용
  • 퇴비화 키트(홈 컴포스트)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퇴비 만들기

🔟 레스토랑에서 남은 음식 포장해오기

외식 시 남은 음식을 포장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포장 문화를 장려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 개인 용기를 챙겨 가서 음식 남길 경우 포장
  • 소량 주문을 원칙으로 하여 음식 낭비 최소화

◆ 제로웨이스트 주방을 실천하면 얻을 수 있는 변화

이러한 작은 실천들이 쌓이면 우리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환경 보호 효과 → 음식물 쓰레기 감소 & 탄소 배출 절감
💰 경제적 이점 → 불필요한 식재료 소비 감소 & 식비 절약
😊 건강한 식습관 형성 → 신선한 식재료 활용 & 자연 친화적 요리 실천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것은 단순한 절약이 아니라, 우리의 건강과 환경을 위한 지속가능한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주방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남은 음식을 재활용하며, 퇴비화하는 작은 실천만으로도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라도 냉장고 정리하기, 식재료 낭비 줄이기, 남은 음식 활용하기 등의 실천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리의 작은 변화가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